영화창고2006. 12. 10. 23:5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색해 보여도 그들은 가족이다


김해숙씨, 그녀는 사람을 울릴 줄 아는 배우이다. 나는 그래서 그녀가 좋다. 그리고 그래서 나는 이 영화를 봤다.

사실, 이 영화의 시나리오는 그다지 탄탄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오태식(김래원)을 예전부터 좋아했을 것으로 짐작되는 박은혜는, 첫 등장이후 아무리 특별출연에 이름을 올렸다해도 그 후의 등장은 뜬금이 없다. 그리고 웃음의 장치로 등장시켰을, 오태식이 10년만의 출소 후 마음을 잡고 취직한 웰빙카센터의 사장은 거부감은 없으나 왠지 그러하기엔 진지하다.
그럼에도 이 영화는 두 시간의 러닝타임을 지루하게 하지 않는 힘이 있다. 그것이 바로 덕자씨(김해숙)와 오태식(김래원)의 힘이다. 김해숙씨의 연기는 일상이 베어 있는 듯 하여 그 맛이 담백하면서도 깊숙히 베어온다. 그러기에 더 슬프고. 김래원은 동년배 배우에게서 느끼지 못하는 깊이를 가지고 있는 배우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연출 탓으로 김래원의 연기는 드라마보다는 액션씬에서 더 크게 튀어오른다.
감독은 쉽게 관객에게 영화의 결말을 강조하기 위해서 액션을 선택했겠지만, 덕자씨가 건네준 수첩에 출감 후 하고 싶었던 소소한 일상들을 하나씩 해나가며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오태식을 소박하고 세밀하게 묘사했던 김래원의 힘을 생각하면, 그리고 잔잔한 드라마에서 격한 액션으로 이어지는 박자의 도식적임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러나, 이 영화는 쌀쌀해진 날씨에 몸 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따뜻하게 하고 싶다면 볼만한 영화일 것이다. 이 영화는 가족의 힘을 믿는 영화이며, 가족이란 논리로 설명하지 않아도 마음으로 엮일 수 있는 관계이니까.

Posted by yup!e
만화창고2006. 12. 9. 23:57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리저리 채널을 돌리다 xtm에서 우연히 보게된 만화.
이 만화 물건이더군요. 유쾌한 B급 영화를 보는 느낌입니다.

늘 위기상황에 빠지는 쿠냥의-네, 위의 저 얼굴입니다- 나름 과학적인 탈출기가 단편으로 이어지는데 아무래도 중독될 듯 합니다.

궁금한 마음에 네이버에서 찾아보니 일본에서는 1999년에 방영된 만화더군요.
아래의 링크가 제가 네이버에서 이 만화와 관련하여 참고한 싸이트입니다. 사진은 허락도 없이 먼저 퍼와버렸습니다. -_-,,, 죄송.
http://blog.naver.com/rkatldms?Redirect=Log&logNo=80022185292
Posted by yup!e
오늘은...2006. 12. 6. 01:39

지나간 글들은 퍽 유치하다.

주말에도 계속 이어진 출근과 어제 자정을 넘어 방문한 후배와의 술자리 덕에 피곤은 눈을 계속 찌름에도 어쩐 일인지 잠은 쉬이 오지를 않고, 몸을 침대에 담궜다 꺼내기를 여러번.
괜시리 여기저기 시비를 걸고 싶은 심사에 올 4월 독거노인의 삶을 위해 이사를 나오면서 가지고 온 풀어보지도 않은 박스를 뜯어보니 내 군대시절부터 시작된 과거의 기록들.
그 중, 몇 장을 들추어 내다 발견한 문구.


사물과 인간에 대한 판단이 흐려지고, 스스로 갈등의 격풍에 몸을 던졌던 것도... 他者와의 relation이 문제가 아닌 나와의 relation 부재, 나와의 communication 상실

난 그 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일까?

그리고, 놀라운 것은 몇 년이 지난 지금도 난 같은 문제를 겪고 있다는 것이다. 허면, 난 그때나 지금이나 한 발자욱도 움직이지 못하고 정체되었다는 것인가? 허긴,난 내 삶을 극단으로 몰고 가보는 용기와 열정이 점점 희미해지고 있는 느낌이다. 이렇게 내 스스로를 현실 속에 안주시키다 자칫 나 자신을 亡失하지나 않을지 두려워지기 까지 한다.  
Posted by yup!e